-
2025 보건복지부 업무계획 ① 취약층 보호information 2025. 1. 14. 17:32728x90728x90
두터운 취약계층 보호와 자립 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
정부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자립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세부 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실행할 계획입니다. 주요 정책은 저소득층 생계 및 의료비 지원 강화, 취약계층별 맞춤형 지원 확대, 위기가구 발굴 체계 강화, 그리고 자립 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합니다. 아래는 이러한 정책의 세부 내용입니다.
Ⅰ. 두터운 취약계층 보호
1. 저소득층 생계 및 의료비 지원 강화
- 기준중위소득 인상
2025년 기준중위소득이 6.42% 인상되어, 2015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할 예정입니다. 이를 통해 생계와 의료급여 등 다양한 공적 지원 기준이 확대됩니다. - 생계급여 지원 확대
4인 가구 기준으로 월 11.8만 원의 생계급여가 인상되며, 선정 기준도 기존 중위소득의 32%에서 35%까지 점진적으로 완화됩니다. 특히, 학대나 우울증을 겪는 청년은 별도 1인 가구로 간주하여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- 의료급여 지원 강화
부양의무자 부담 비율을 낮춰 의료급여 수급 기준을 완화합니다. 정신과 폐쇄병동 입원료는 일반 입원료보다 12%를 가산하며, 격리보호료 관련 새로운 수가를 신설해 의료 접근성을 높일 계획입니다. - 긴급복지 지원 확대
소득 및 금융재산 기준이 완화됩니다. 예를 들어, 4인 가구 기준 소득 기준은 월 429만 원에서 457만 원으로 상향되며, 금융재산 기준은 1173만 원에서 1210만 원으로 조정됩니다. 생계지원금은 월 3.9만 원 인상되고, 의료지원 후 곧바로 생계지원을 재신청할 수 있도록 요건이 완화됩니다.
2. 취약계층별 맞춤형 지원 확대
- 노인 지원 강화
약 110만 개의 일자리를 제공하며, 사회서비스와 민간형 일자리 비중을 2025년까지 37%, 2027년까지 40%로 확대합니다. 또한, 기초연금이 최대 34.3만 원으로 인상됩니다. - 아동 보호 강화
국내외 입양 절차를 국가가 주도적으로 개편하고, 아동학대 대응 기관을 기존 98개소에서 107개소로 확대합니다. 신생아 긴급보호비 지원도 신설되어, 약 300명에게 3개월간 월 100만 원씩 지원합니다. - 장애인 지원 확대
장애인을 위한 공공일자리 2000개를 추가로 창출하고, 맞춤형 직무를 기존 45종에서 47종으로 늘립니다. 장애인연금은 최대 43.3만 원으로 인상됩니다.
Ⅱ.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
1. 신속한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 체계 강화
- 위기가구 발굴 강화
현재 47종에 달하는 위기정보를 기반으로, 주요 위기정보(예: 단전, 임대주택 임대료 체납 등) 2종 이상 포함 시 위기가구로 선정됩니다. 이를 통해 매 2개월마다 약 20만 명의 위기가구를 발굴할 계획입니다. - AI 및 ICT 기술 활용 확대
AI를 활용한 동시 상담 채널을 기존 100개에서 150개로 확대해, 연간 상담 제공 인원을 22만 명에서 50만 명으로 늘릴 예정입니다. 독거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응급안전서비스는 27만 대에서 30만 대로 증설합니다. - 민관 협업 강화
건강보험공단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기관과 협력하여 복지 위기 알림 앱 사용을 활성화합니다. - 현장 신청 편의 증대
모바일 기반 '행복이음'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해 현장 조사 단계에서 급여 신청까지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Ⅲ. 탈빈곤 자립지원 강화
1. 근로를 통한 자립 지원 확대
- 자활근로 기회 확대
저소득층 자활근로 참여자를 3000명 추가로 확대하고, 급여 수준도 3.7% 인상합니다. - 자활성공지원금 신설
자활근로 참여자가 취업이나 창업을 통해 생계급여 수급 상태를 벗어날 경우, 6개월 후 50만 원, 1년 후 10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해 최대 150만 원을 지원합니다. - 청년 자립 지원 강화
민간자격 취득 및 직무기술 교육 인원을 540명에서 600명으로 확대합니다. 또한, 인턴 연계 직무교육 등 청년 자활근로 특화 지원 시범사업을 운영합니다. - 사례관리 강화
전국 지역자활센터에 자활사례관리사를 기존 125명에서 250명으로 확대 배치하며, 사회보장과 고용보험 통합정보전산망을 구축해 맞춤형 자립 지원을 강화합니다.
2. 자산 형성 지원 강화
- 디딤씨앗통장 지원 확대
아동 1명당 정부 2배의 자립금 매칭 지원 대상을 기초생활수급가구에서 차상위계층으로 확대합니다. - 청년 내일저축계좌 지원 확대
신규 가입자를 4만 명 추가 모집하며, 소득 기준을 월 230만 원에서 250만 원 이하로 완화합니다. 첫 만기 해지자 약 3만 명을 대상으로 자산관리와 금융교육도 제공합니다. - 희망저축계좌Ⅱ 지원 강화
취약계층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 지원금을 연차별로 차등 지급합니다. 예를 들어, 1년 차에는 월 10만 원, 2년 차에는 월 20만 원, 3년 차에는 월 30만 원을 지원합니다.
이와 같은 정책은 사회적 약자들이 생존과 복지를 보장받는 동시에 자립을 통해 안정적인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
<자료출처=정책브리핑 http://www.korea.kr>
728x90728x90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보건복지부 계획 ③ 수요자 맞춤형 돌봄안전망 (1) 2025.01.14 2025 보건복지부 업무계획 ② 의료개혁 (0) 2025.01.14 2025년 기대되는 저출생 대책 (1) 2025.01.14 2025년 저출생 대책: 생애주기별로 살펴보기 (2) 2025.01.14 2025년 최저임금과 병사 월급 인상 (2) 2025.01.14 - 기준중위소득 인상